본 논문에 대한 내용 보다는 작성 방식에 대해서 정리하려 한다.
Speculative Futures on ChatGPT 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 Collective Reflection from the Educational Landscape
https://www.asianjde.com/ojs/index.php/AsianJDE/article/view/709/394
View of Speculative Futures on ChatGPT 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 Collective Reflection from the Educationa
www.asianjde.com
이 논문이 흥미로운 점 3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방법론 - "Speculative methods"
본 논문은 Speculative methods라는 연구방법론을 사용했다. "Speculative methods"는 연구의 문제나 주제에 대해 가설, 이론,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탐색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이는 자주 변동되거나 정의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현상을 연구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이 방법론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미래의 가능성을 상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철학, 사회학, 인문학, 예술, 디자인 등과 같은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종종 가설을 세우고, 이론을 개발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며, 통찰력을 얻기 위해 추상적인 사고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이 과학적 방법에 대한 대안이 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이는 과학적 접근법이 어려운 주제나 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완적인 도구로 생각될 수 있다. "Speculative methods"는 종종 어떤 문제나 주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Using fictional storytelling to imagine the future is a speculative methodology that encourages radical imagination (Houlden& Veletsianos, 2022).
소설같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해야 미래를 상상하는것이 'a speculative methodology' 연구방법이며, 이는 급진적인 상상을 촉진한다.
2. 연구자 수 : 무려 36명의 공저
Aras Bozkurt, Junhong Xiao, Sarah Lambert, Angelica Pazurek, Helen Crompton, Suzan Koseoglu, Robert Farrow, Melissa Bond, Chrissi Nerantzi, Sarah Honeychurch, Maha Bali, Jon Dron, Kamran Mir, Bonnie Stewart, Eamon Costello, Jon Mason, Christian M. Stracke, Enilda Romero-Hall, Apostolos Koutropoulos, Cathy Mae Toquero, Lenandlar Singh, Ahmed Tlili, Kyungmee Lee, Mark Nichols, Ebba Ossiannilsson, Mark Brown, Valerie Irvine, Juliana Elisa Raffaghelli, Gema Santos-Hermosa, Orna Farrell, Taskeen Adam, Ying Li Thong, SunagulSani-Bozkurt, Ramesh C. Sharma, Stefan Hrastinski, Petar Jandri
본 논문은 무려 36명의 공저를 가지고 있다.
3. 펀딩 - 이 연구는 심지어 펀딩을 받아 진행된 연구다.
이 연구는 심지어 세명의 연구자에게 지원된 연구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hl=en&user=8HKKXGU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Aras Bozkurt
Anadolu University - Cited by 10,541 - Distance Education - Open and Distance Learning - Online Learning - Educational Technology
scholar.google.com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hl=en&user=bdLkPOM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Juliana Elisa Raffaghelli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 Cited by 2,872 - Educational Research - Networked Learning - Higher Education - Data Literacy - Open Data
scholar.google.com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hl=en&user=JnB_DpA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Gema Santos-Hermosa
Lecturer, Universitat Barcelona - Cited by 472 - Open Education - Open Educational Resources - Open Science - repositories - Information Retrieval
scholar.google.com
결론:
이 논문에 대한 내용은 오픈 엑세스가 가능함으로 열람을 통해 파악할 수 있을것이다.
하지만, 이 논문이 만들어 진 흥미로운 배경은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알기 힘들다.
연구 논문은 학계에서 만들어지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연구자들의 다양한 협력을 통해서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사실 지인의 추천으로 알게된 논문이지만 본 논문의 연구방법론도 낯설었고 이렇게 많은 공동연구자의 협력 산출물이라는 점 또한 놀라웠다. 익숙한 스타일의 연구는 아니지만 저널에 출간도 되었다는것도 주목할 점이다.
저널명: Asi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AsianJDE) *SSCI 급 아님
http://www.asianjde.com/ojs/index.php/AsianJDE
Asi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The main aim of the Asi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AsianJDE) is to disseminate scholarly works and information useful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growing field of distance education in Asia. The Journal also aims to provide a forum for di
www.asianjde.com